본문 바로가기

뉴스 디비파기/핫이슈

역시 문화찌라시



회담록 증발? 盧정부 미스터리 왜이리 많아? 

史草 실종… 2007년~ 2008년 정권이양 ‘4개월 행방’ 추적해야


증발된 2007년 제2차 정상회담 회담록의 행방을 찾는 열쇠는 당시 회담록이 생성되는 생성되는 시점부터 이듬해인 2008년 2월말 정권이양기까지의 4개월여 기간에 숨어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회담록이 언제 어떻게 생성됐고 어느 시점에 이관됐는지, 이관되지 않았다면 어느 시점에 누구의 지시로 폐기됐거나 은닉됐는지 회담록이 사라지는 과정이 이때에 집중돼 발생했기 때문이다.

회담 증발록 미스터리를 풀기 위해 안간힘을 쏟고 있는 정치권에서는 19일 첨예한 진실공방까지 더해져 상대의 허점을 공격하면서 논란이 증폭되고 있다. "노무현정부로부터 처음 받은 대통령기록물의 목록에서부터 회담록은 빠져 있다"(새누리당), "참여정부 전산시스템인 e지원(e知圓)과 국가기록관의 문서관리시스템이 맞지 않고, 필요할 경우 목록부터 암호화하기도 하기 때문에 아직 못찾았다"(민주당) 등으로 맞서 있다. 그러자 "코드명으로 암호화해서 찾지 못하게 만든 행위도 은폐·폐기에 해당한다"(새누리당) 등 역공은 끊이질 않는다.

회담록 생성이 그해 10월 4일 평양에서 돌아온 직후 시작된 뒤 초안은 보름여 뒤에 완성됐다는 데는 별 이견이 없다. 국가정보원이 회담록 초안을 만들어 청와대에 보고됐고 청와대 안보정책실이 보완해 완성한 뒤 문서 1부는 청와대에, 다른 1부는 노 전 대통령의 재가를 거쳐 국정원으로 보내졌다. 지난 6월 국정원이 공개한 103페이지 회담록 표지에 2008년 1월 생산이라고 찍혀 있다는 점에 비춰 1월 최종본이 완성됐을 것으로 유추된다.

문제는 1∼2월 중에 도대체 무슨 일이 벌어졌는가다. 국가기록원에서 대통령기록물인 회담록을 아직까지 찾지 못하고 있다는 사실은 이 기간 중 폐기됐거나 다른 곳으로 옮겨졌다는 두 가지 외에는 가능성이 없다. 두 경우 모두 국가기록원으로는 이관되지 않았다는 의미다. 여권 관계자들은 "국가기록원이 추가검색어까지 집어넣어 그토록 샅샅이 뒤졌는데도 발견하지 못한 것은 노 전 대통령의 지시에 따라 조직적으로 파기 또는 은닉됐을 가능성이 높다"고 주장한다. 노 전 대통령의 고향인 봉하마을로 옮겨져 현재까지 은닉됐을 가능성은 많지 않다는 분석이다. 2008년 여름 e지원 시스템이 통째로 봉하마을로 옮겨진 데 대한 검찰 수사과정에서 국가기록원으로 모두 반환됐다는 점에서다. 물론 그해 검찰의 수사가 시작되기 전, 3월 이후 봉하마을에 보관 중이던 회담록 문서 1부가 폐기됐을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김상협 기자 jupiter@munhwa.com